본문 바로가기
트렌드와 투자

2025 트렌드와 투자 : 3탄_토핑경제(Topping Economy)_토핑경제 관련 주식 전망은?

by 머니크니 MK 2025. 2. 7.

안녕하세요.

돈과 내가 같이 성장하는 공간 머니크니 (MoneyKney)의 MK 입니다.

 

오늘은 2025년의 주요 소비 트렌드 3토핑경제(Topping Economy)’ 이와 관련된 투자 주식 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토핑경제는 소비자가 기성 제품에 개인적인 취향과 창의성을 더해 자신만의 독특한 제품을 완성하는 소비 패턴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주식 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5 트렌드와 투자 1탄과 2탄을 같이 보면 현명한 트렌드 분석과 투자에 도움이 됩니다.

 

2025 트렌드와 투자 : 1탄_옴니보어 소비_기업과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변화

 

2025 트렌드와 투자 : 2탄_아보하(Aboha)_경제·산업·주식 시장에서의 새로운 기회

 

 

목차

 

1. 토핑경제란 무엇인가?

2. 토핑경제와 기업의 대응 사례

3. 토핑경제 트렌드에 따른 투자 전략

4. 결론 및 투자 시사점

내용

 

반응형

 

1. 토핑경제란 무엇인가?

 

토핑경제는 피자나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등에 원하는 토핑을 추가하듯,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하여 커스터마이징하는 소비 트렌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가방에 키링을 달아 꾸미는 ‘가꾸’, 휴대폰을 꾸미는 ‘폰꾸’, 신발을 꾸미는 ‘신꾸’, 다이어리를 꾸미는 '다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들이 제품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2. 토핑경제와 기업의 대응 사례

 

기업들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크록스(Crocs)의 ’지비츠(Jibbitz)’가 있습니다. 지비츠는 이제 고유명사가 될 정도로 트렌드가 되었고, 이와 유사한 제품이 많이 나왔을 정도입니다.

출처_왼쪽_크록스 홈페이지 / 오른쪽_무신사 리포트(네이버포스트)_쯔양X농심 콜라보

 

소비자들은 크록스 신발에 다양한 지비츠를 추가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크록스의 매출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금융 분야에서도 토핑경제의 개념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뱅크샐러드의토핑+’ 서비스는 마이데이터에 AI 결합하여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자의 자산, 지출, 투자 분석 등을 통해 개인의 재테크 상태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3. 토핑경제 트렌드에 따른 투자 전략

 

토핑경제 트렌드에 발맞춰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매출 증가와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렌드를 선도하거나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는 유망할 있습니다.

토핑경제(Topping Economy) 트렌드가 적용된 투자 사례 기업 주식과 연관된 사례

1. 크록스(Crocs, NASDAQ: CROX) – 지비츠(Jibbitz) 열풍으로 주가 상승

사례: 크록스는 기존의 단순한 고무 신발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을 추가할 수 있는 ‘지비츠’ 커스터마이징을 도입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투자 성과: 2020년 이후 크록스의 주가는 꾸준히 상승했으며, 특히 Z세대 소비자들이 신발을 꾸미는 트렌드에 열광하면서 매출이 급증했습니다.
2023년 기준 실적: 크록스의 연 매출은 39억 달러(약 5조 원) 이상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9% 성장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크록스의 성공은 커스터마이징 트렌드가 소비자 경험을 증대시키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며, 주식 시장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2. 나이키(Nike, NYSE: NKE) – 맞춤형 운동화 ‘나이키 바이 유(Nike By You)’ 전략

사례: 나이키는 ‘나이키 바이 유’(Nike By You)라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직접 운동화의 디자인과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핑경제 트렌드를 반영했습니다.
투자 성과: 이 서비스는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며 브랜드 가치 상승에 기여했고, 나이키의 매출 증가를 견인했습니다.
2024년 1분기 실적: 나이키의 맞춤형 제품 판매량이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주가도 꾸준히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소비자의 직접 참여형 제품 제작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투자 가치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3. 레고 그룹(Lego) – ‘DIY 레고 세트’와 모듈형 디자인 전략

사례: 레고는 전통적인 블록 완구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직접 창작할 수 있도록 하는 DIY(Custom Build) 레고 세트를 출시했습니다.
투자 성과: 맞춤형 레고 제품 판매량이 2023년 15% 증가하며, 글로벌 완구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상승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토핑경제의 핵심인 “소비자 참여형 디자인” 전략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4. 스타벅스(NASDAQ: SBUX) – 개인 맞춤 음료 ‘마이 스타벅스 리워드’와 투자 가치

사례: 스타벅스는 소비자들이 음료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우유 종류, 샷 추가, 시럽 선택 등)을 제공하면서 토핑경제를 적용했습니다.
투자 성과: 이러한 맞춤형 서비스는 스타벅스 리워드(Starbucks Rewards) 회원 가입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는 충성 고객 확보 및 매출 증가로 연결되었습니다.
2024년 1분기 실적: 글로벌 매출이 전년 대비 11% 증가하며, 미국 시장에서의 회원 수는 3,2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토핑경제 트렌드와 맞춤형 경험이 브랜드 충성도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입니다.

 

4. 결론 및 투자 시사점

 

토핑경제는 단순한 소비 트렌드를 넘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주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주시하고,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 시에는 기업의 재무 상태, 시장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핑경제 트렌드는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투자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트렌드를 주의 깊게 살펴보시고, 현명한 투자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중국인들의 두리안 사랑: 왜 이렇게 열광할까?

 

커피 가격 상승, 언제까지 계속될까? 소비자와 투자자가 알아야 할 커피 시장 전망

 

트럼프가 '콕' 찝어주는 투자 분약 완벽 정리 : 트럼프 정책의 수혜 산업 투자 전략


해당 게시글은 투자 참고를 위한 단순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투자 권유 및 종목 추천이 아니므로 투자에 대한 책임이나 결과는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100% 보장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를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

home top bottom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