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종신보험 사망보험금 유동화 사망보험금 연금처럼 받는 방법

by 머니크니 MK 2025. 3. 13.

안녕하세요.

돈과 내가 같이 성장하는 공간 머니크니 (MoneyKney)의 MK 입니다.

 

이제는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연금으로 전환해 노후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됩니다.

오늘은 2025년 하반기부터(빠르면 7월 중) 시행되는 '사망보험금 연금화 제도'에 대해 설명해 드릴게요.

 

 

목차

 

1. 사망보험금 연금화 제도란?

2.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3. 수령 방식과 예시

4. 이 제도를 활용하면 좋은 사람

내용

 

1.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란?

 

📌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이유로 기대수명이 증가하여 노후소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노인 빈곤율은 39.2%(23년 통계청)로 OECD 내 하위 수준이며, 연금 등을 통한 노후준비도 주요 선진국에 비하여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에 금융당국은 보험을 통해 '노후가 안심되는 삶'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후지원 보험 5종 세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그중 세 번째 과제로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기존의 종신보험은 가입자가 사망한 후 유가족이 사망보험금을 받는 방식이었으나, 빠르면 2025년 7월부터 종신보험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됩니다.

 

출처_금융위원회_노후지원 보험 5종 세트

 

 

✅ 주요 내용

  • 대상자 : 만 65세 이상, 보험료 완납한 금리확정형 종신보험 계약자
  • 연금 전환 비율 : 사망보험금의 최대 90%까지 연금으로 수령 가능
  • 연금 외 추가 활용 가능 : 요양비, 간병비, 건강관리 서비스 등으로 전환 가능

출처_금융위원회_사망보험금 유동화 방안 주요 내용

 


 

2.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 신청 조건

  • 계약 기간 10년 이상
  • 납입 기간 5년 이상
  •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해야 함
  • 보험계약대출(약관대출)이 없어야 신청 가능
  • 소득이나 재산 요건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

💡즉, 보험료를 모두 완납한 후 신청이 가능하며, 납입 기간이 짧거나 대출이 있으면 신청 불가!

 

출처_금융위원회_사망보험금 유동화 신청조건

 


 

3. 수령 방식과 예시

 

📣 사망보험금 유동화 방안은 '연금형'과 '서비스형' 두 가지 유형으로 출시되며, 두 유형 간 결합도 가능합니다.

 

📌 연금형 상품

  • 본인의 사망보험금 일부를 유동화하여 매월 연금방식으로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 종신보험 가입자 입장에서는 총납입액보다 많지만 사망보장금보다는 적은 수준의 자금을 살아있을 때 당겨서 받게 되는 셈
  • 최소한 본인이 납입한 월 보험료를 상회하는 금액을 매월 연금으로 수령하도록 구성할 예정
    • 납입한 월 보험료의 100% 초과 ~ 200% 내외 예정
반응형

 

✅ 사례 1 - 연금처럼 매월 받을 때

  • 40세에 가입하여 매월 15.1만 원의 보험료를 20년 동안 총 3,624만 원을 납입하여 사망보험금 1억 원 보험계약을 보유한 소비자
    • 20년, 70% 유동화를 선택 시
    • 납입한 보험료의 121%(총 4,370만 원/월평균 18만 원/65세 시작) ~ 159%(5,763만 원/월평균 24만 원/80세 시작)의 금액을 연금으로 매월 수령 가능
    • 3천만 원의 잔존 사망보험금도 수령 가능

출처_금융위원회 공식블로그_사망보험금 유동화 연금형 수령 예시

 

출처_금융위원회 공식블로그_사망보험금 유동화 연금형 수령 예시

 

출처_금융위원회 공식블로그_사망보험금 유동화 20년 유동화시, 연령별 유동화 비율별 수령가능금액 예시(단위:만원)

 

💡연금형 유동화방안과 기존 보험 계약 대출을 비교하면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추가적인 이자 부담 없음
  • 수령금액에 대한 상환의무 없음
  • 사망보험금도 본인이 계획한 만큼 잔존시킬 수 있음
  • 단, 유동화 실행 이후 사망보험금 부활 불가

 

✅ 사례 2 - 보험 계약 대출과 비교했을 때

 

  • 사망보험금 유동화 연금형(월평균 20만 원, 총 4,487만 원 수령) VS 동일 조건으로 보험계약 대출로 매원 20년 이용할 때
    • 예정이율 7.5%, 계약대출이율 9%, 계약대출 원리금 미상환 가정

출처_금융위원회 공식블로그_사망보험금 유동화 연금형과 보험계약 대출 비교

 


 

📌 서비스형 상품

  • 연금형태(현금)가 아닌 현물과 서비스 형태로 지급하는 상품
  • 요양, 간별, 주거, 건강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
    • 보험사와 제휴된 요양시설을 이용 중인 소비자가 사망보험금을 유동화해, 5년간 요양시설 이용료로 충당할 수 있음
    • 전담 간호사 서비스, 투약상담, 식이요법 상담, 진료 및 입원 절차 대행 등 건강관리 서비스로 받을 수도 있음

출처_금융위원회 공식블로그_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형 예시

 


 

4. 이 제도를 활용하면 좋은 사람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노후 생활비가 부족한 분
  • 건강 상태가 좋고 장수할 가능성이 높은 분
  • 자녀에게 전 재산을 상속하기보다 일부는 본인 생활비로 활용하고 싶은 분
  • 장기 요양이나 간병비가 필요할 가능성이 있는 분

📣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가 필요 없는 경우

  • 상속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우
  • 이미 충분한 노후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 향후 계획

  • 2025년 4/4분기(빠르면 7월 중) 출시를 목표로 준비된 보험사, 보험상품부터 출시됩니다.

📣 사망보험금 유동화 방안 Q&A : https://blog.naver.com/blogfsc/223792014555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에 대한 궁금증은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년 바뀌는 복지 정책 제도

 

 

2025년부터 달라지는 금융·경제·부동산 정책 총정리 1탄

 

 

2025년부터 달라지는 금융·경제·부동산 정책 총정리 2탄


해당 게시글은 참고를 위한 단순정보 제공 목적입니다.

본 콘텐츠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100% 보장하지 않으며(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음),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를 위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

home top bottom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