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PER PBR ROE 정말 쉽게 이해하기 초보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

by 머니크니 MK 2025. 2. 28.

안녕하세요.
돈과 내가 같이 성장하는 공간 머니크니 (MoneyKney)의 MK 입니다.
 
오늘은 투자에 관심이 많지만 복잡한 주식 용어 때문에 어렵다고 느끼셨던 분들을 위한 내용입니다.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PER, PBR, ROE" 이런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는데요. 초보자들은 마치 암호처럼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PER, PBR, ROE" 같은 주식의 핵심 지표들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이 글을 읽고 나면, 어떤 기업이 저평가되었는지, 수익성이 좋은지, 투자 가치가 있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럼, 하나씩 쉽게 알아볼까요? 
 

목차

 
1. PER, PBR, ROE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기!
2. PER, PBR, ROE는 어떻게 계산할까? feat. 쉽고 간단한 예시 포함
3. 투자할 때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4. PER, PBR, ROE를 종합적으로 보는 법 : 실제 사례 분석

내용

 
1. PER, PBR, ROE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기!
 
주식 투자할 때 PER, PBR, ROE 같은 지표를 몰라도 투자를 할 순 있습니다. 물론 수익을 낼 수도 있겠죠. 하지만 PER, PBR, ROE 같은 지표를 안다면 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투자 결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쉬워집니다.
이 지표들은 주식을 평가할 때 기업이 과대평가(고평가)인지, 저평가된 좋은 주식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하죠.


 
📌 PER (주가수익비율) : 이 기업, 비싼가? 싼가?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PER(Price Earnings Ratio)은 이 주식을 사면, 투자금 회수에 몇 년이 걸리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예시 :

  • A 기업 : PER 10
  • B 기업 : PER 30

➡️ A회사는 10년, B회사는 30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 즉 PER이 낮을수록 현재 주자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그럼 PER이 낮으면 좋은 건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PER이 높아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전기차처럼 수익을 잘 내고 주가도 좋은데 PER이 높은 미래 성장형 기업들이 있습니다. 
 

반응형

 
📌 PBR (주가순자산비율) : 이 회사, 지금 저평가 됐나?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PBR(Price to Book Ratio)은 회사가 가진 순자산(자본)을 기준으로 주식이 비싼지 싼지 판단하는 자료입니다.
 
✅ 예시 :

  • A 기업 : PBR 0.8 → 자산가치보다 싸게 거래 중(저평가 가능성)
  • B 기업 : PBR 2.5 → 자산가치보다 2.5배 비싸게 거래 중(고평가 가능성)

❓PBR이 1보다 낮으면?
💡기업이 가진 자산보다도 저렴하게 거래되는 상태일 수 있어요. 하지만 PBR이 너무 낮다면, 시장에서 그 기업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 ROE (자기 자본이익률) : 이 기업, 앞으로 돈 잘 벌까?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ROE(Return to Equity)는 기업이 자본 대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내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예시 :

  • A 기업 : ROE 5% → 투자한 돈으로 5%의 수익 창출
  • B 기업 : ROE 20% → 투자한 돈으로 20%의 수익 창출

❓ROE가 높을수록 좋은가?
💡맞습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ROE가 높은 기업이 더 효율적으로 돈을 벌고 있다는 뜻이죠. 하지만 ROE가 지나치게 높다면 부채를 많이 써서 리스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2. PER, PBR, ROE는 어떻게 계산할까? feat. 쉽고 간단한 예시 포함
 
✅ PER 계산법 :

  • A기업 주가 : 100,000원
  • 주당순이익(EPS) : 10,000원
  • PER = 100,000 ÷ 10,000 = 10

✅ PBR 계산법 :

  • A기업 주가 : 100,000원
  • 주당순자산가치(BPS) : 50,000원
  • PBR = 100,000 ÷ 50,000 = 2

✅ ROE 계산법 :

  • A기업 당기순이익 : 500억 원
  • 자기자본 2,000억 원
  • ROE = (500 ÷ 2,000) × 100 = 25%

 
3. 투자할 때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PER이 낮고, PBR이 1 미만인데, ROE가 높다면? → 저평가된 성장 기업 가능성 있음 ✅
 
📌PER이 높고, ROE가 낮다면? → 주가가 고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4. PER, PBR, ROE를 종합적으로 보는 법 : 실제 사례 분석
 
💡삼성전자 (2025년 2월 기준)

  • PER(주가수익비율) : 4.0 (저평가 가능성)
  • PBR(주가순자산비율) : 0.4 (저평가 가능성)
  • ROE(자기자본이익률) : 11.9% (양호)

출처_인베스팅닷컴_삼성전자 주요지표_250228 검색결과

 


💡테슬라 (2025년 2월 기준)

  • PER(주가수익비율) : 128.8 (고평가 가능성)
  • PBR(주가순자산비율) : 12.6 (고평가 가능성)
  • ROE(자기자본이익률) : 10.5% (양호)

출처_인베스팅닷컴_테슬라 주요지표_250228 검색결과

 


📣 결론 : 

  •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배당이 있지만 저평가 가능성이 크다.
  • 테슬라는 고평가 되어 리스크가 있지만 성장성이 높다.

PER, PBR, ROE 하나만 보지 말고 같이 활용하세요!
PER이 낮고, PBR이 1 미만이라면 저평가 가능성 있음!
ROE가 높다면 그 기업은 돈을 잘 벌고 있을 확률이 큼!
 
 

같이 보면 좋은 글

 
경제 위기에도 돈 버는 투자법! 장기적으로 살아남는 전략 정리
 
 
초보자가 자주 범하는 주식 투자 실수와 그 해결책
 
 
주식 시장에서 감정 관리법 - 초보 투자자가 손실이나 급등 상황에서 감정을 컨트롤하는 심리적 전략


https://blog.naver.com/onedaydayone/223844376090

 

 

https://m.blog.naver.com/onedaydayone/223844376090

반응형

home top bottom
loading